트리플 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플 원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랜드마크 빌딩으로 계획되었으나, 사업 무산으로 인해 건설되지 못했다.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를 맡고 삼성물산이 시공할 예정이었으며, 초기에는 '드림타워'라는 이름으로 지상 153층, 660m 높이로 계획되었으나, 글로벌 금융 위기 등의 영향으로 여러 차례 계획이 변경되었다. 최종적으로는 111층, 620m의 원추형 빌딩으로 디자인되었지만, 사업 시행사와 소유주 간의 갈등으로 인해 2012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무산되면서 건설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소된 건축물 - 안산문화복합돔구장
안산문화복합돔구장은 경기도 안산시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2013년 최종적으로 백지화된 4만 명 수용 규모의 개폐식 돔구장 건설 사업이다. - 취소된 건축물 - 다이노스 베이스볼 파크
- 서울 용산구의 건축물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서울 용산구의 건축물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행정 구역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트리플 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드림 허브 아키펠라고 메인 타워 |
원어 이름 | 허브 열도 핵심 타워 드림 |
위치 | 용산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좌표 | 37°31′45″N 126°57′35″E |
상태 | 구상 |
용도 | 복합 용도 |
건축 정보 | |
안테나/첨탑 높이 | 665m |
층수 | 136층 |
건축가 | 다니엘 리베스킨트 |
시공사 | 삼성물산 |
기타 정보 | |
관련 정보 | http://joongangdaily.joins.com/article/view.asp?aid=2905606 http://www.worldarchitecturenews.com/index.php?fuseaction=wanappln.projectview&upload_id=10226 |
龍山ドリームタワー 정보 | |
용도 | 복합 시설 |
시공 | 삼성물산 등 |
층수 | 지상 136층 |
높이 | 665m |
착공 예정 | 2021년 |
준공 예정 | 2026년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
트리플 원 정보 | |
원어 건물 명칭 | Triple One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 용산국제업무지구 |
상태 | 재추진 예정 |
건축 기간 | 2009년 ~ |
착공 (당초) | 2011년 |
완공 (당초) | 2016년 |
용도 | 업무 시설 |
구조물 높이 | 621m |
층수 | 지상 111층, 지하 9층 |
연면적 | 459,932m2 |
건축가 | 렌조 피아노 |
소유주 | 코레일 |
시공사 | 삼성물산 |
시행사 | 드림허브 유한회사 |
관련 정보 | http://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20502000424 |
2. 역사
'''트리플 원'''은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랜드마크 빌딩으로 추진되었다.
2006년 한국철도공사(KORAIL)는 경영 개선을 위해 용산역 일대의 차량기지 등을 개발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8] 2007년 오세훈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한강을 정비하고 관광지로 만들고자 했으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이 프로젝트에 포함시켰다. 서울시는 사업 범위를 한강변까지 확장하면서 서부이촌동 주택가도 포함시켰다. 이로 인해 한국철도공사는 주민 이주 보상 문제에 직면했고, 개발 반대 운동과 협상 지연으로 금융 부담이 커졌다.[8] 일부 주민들과의 갈등은 경찰 강제 진압과 사상자 발생으로 이어졌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MVRDV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초청되어 용산 드림타워 주변 초고층 건물 설계를 맡았고,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설계안이 발표되며 서울의 새로운 도심을 알렸다.[9][10] 그러나 민간 기업들이 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2013년 3월 13일 용산역세권개발은 채무 불이행을 선언했고, 용산 드림허브는 무산되었다.[8]
2. 1. 초기 계획 (2007년)
2007년 '드림타워'라는 이름으로, 지상 153층, 660m의 초대형 건물로 기획되었으며, 디자인은 '아키팰라고 21' 프로젝트가 채택되었다.[5]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를 담당하고,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을 예정이었다. 예상 총 사업비는 28조원 이상이었다. 당시 계획은 높이 665m, 지상 150층이었다.[7]2. 2. 계획 변경 (2008년 ~ 2011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2007년의 665m, 지상 150층 계획은 축소되었다. 2010년부터 한강에 접하고 용산역 근처에서 재개발 및 구획 정리, 사업 계획을 시작하여 2011년에 기공식을 열 예정이었다. 2011년 사업을 재추진하면서, 지상 111층, 620m의 원추형 빌딩인 '타워 트리플 원'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9월 26일에는 높이 485m, 지상 100층으로, 11월 28일에는 높이 620m, 지상 111층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5][7]2. 3. 최종 디자인 및 무산 (2012년 ~ 2013년)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를 담당하고,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아 총 사업비 28조원 이상이 예상되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랜드마크 빌딩이었다. 2007년 '드림타워'라는 이름으로 153층, 660m의 초대형 건물로 기획되었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사업이 축소되었다. 2011년 사업을 재추진하면서 111층, 620m의 원추형 빌딩인 '타워 트리플 원'으로 최종 결정되었다.최종 디자인은 퐁피두 센터와 더 샤드를 설계한 렌조 피아노가 맡았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입찰 경쟁을 벌였고, 부르즈 할리파 건설 경험을 인정받아 삼성물산이 시공사로 선정되었다. 2012년 착공하여 2016년 완공을 목표로 하였으나, 2012년 말부터 시행사 드림허브와 소유주 코레일 간의 갈등으로 인해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무산되었다.[5][7]
2007년 당시 계획 | 2011년 9월 26일 당시 계획 | 2011년 11월 28일 당시 계획 |
---|---|---|
높이 665m, 지상 150층 | 높이 485m, 지상 100층 | 높이 620m, 지상 111층, 설계자 렌조 피아노로 변경 |
트리플 원의 건설은 렌조 피아노가 최초로 언급하였다. 당시 회의의 의장이었던 렌조 피아노는 "지상 455m 위 타워에서 튀어나온 유리구슬 모양의 전망대(103층 · 점선안)를 만들었다. 정남향으로 배치한 상층부 첨탑은 서울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그의 제안은 본격적으로 트리플 원의 건설에 반영되었다.[5][7]
부지는 원래 용산역에 인접하여 차량공장·차량기지 등이 있던 곳으로, 코레일이 경영 개선을 위해 부동산 개발을 모색하면서 2006년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시작되었다.
3. 건설 계획
프리덤 타워의 설계를 맡았던 다니엘 리베스킨드가 설계를 담당했다. 시공주는 삼성물산이었다. 예상되는 총 사업비는 28조원 이상이었다.
한강에 접하고, 용산역 근처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2010년부터 재개발 및 구획정리 사업 계획을 시작하여 2011년에 기공식을 예정하고 있었다.
4. 용산 드림 허브
2007년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일부 포함되었다. 서울시는 재개발 지구를 확장하면서 서부 이촌동도 용산국제업무지구에 포함하고 '''용산 드림허브''' 개발 계획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그 결과 코레일은 주민 퇴거 보상 문제로 개발 반대 운동을 일으킨 주민들과의 협상에서 착공이 지연되어 금융 부담이 커졌다.
용산 드림허브를 위해 다니엘 리베스킨트, MVRDV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초청되어 초고층 빌딩 설계를 맡아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설계안이 발표되었으나, 삼성물산 등 민간 기업들이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2013년 3월 13일 '''용산역세권개발'''이 채무 불이행이 되면서 사업은 무산되었다.
4. 1.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2007년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한강을 서울의 대표적인 공간으로 정비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한강과 가까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도 일부 포함되었다.[8] 서울특별시는 재개발 구역을 시가지에 둘러싸인 차량 기지 터에서 한강변까지 넓히기 위해, 차량 기지 터와 한강 사이에 있던 서부 이촌동 주택가도 용산국제업무지구에 포함하여 "용산 드림허브" 개발 계획을 크게 확장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코레일은 서부 이촌동 주민들의 이주 보상 문제까지 떠안게 되었고, 개발 반대 운동을 벌이는 주민들과의 협상 과정에서 착공이 늦어지면서 금융 부담이 커졌다.[8] 특히 일부 이주 반대 주민들의 농성은 경찰의 강제 진압으로 이어져 양측 모두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설상가상으로 2008년 세계 금융 위기까지 겹치면서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4. 2. 사업 무산의 원인
2006년 용산역 근처 차량기지 부지에 대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코레일의 부동산 개발 계획으로 시작되었다.[8]
2007년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을 한강변 정비 사업에 포함시켰다. 서울시는 서부 이촌동을 개발 구역에 추가하여 '''용산 드림허브''' 계획을 확대했다. 이로 인해 코레일은 주민 이주 보상 문제에 직면했고, 주민 반대 운동, 착공 지연, 금융 부담 증가로 이어졌다. 일부 주민들의 농성은 경찰 강제 진압으로 이어져 사상자가 발생했고, 2008년 세계 금융 위기까지 겹쳤다.[8]
다니엘 리베스킨트, MVRDV 등 유명 건축가들이 초고층 빌딩 설계를 맡아 2011년~2012년 설계안을 발표했지만,[9][10] 삼성물산 등 민간 기업들이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2013년 3월 13일 자산 관리 위탁 회사 '''용산역세권개발'''이 52억원의 이자를 갚지 못해 채무 불이행이 되면서 사업은 무산되었다.[8]
5. 시설
트리플 원은 지상 111층, 지하 9층 규모의 초고층 건물이다. 전망대, 오피스, 클럽하우스, 스카이 로비, 갤러리, 레스토랑, 편의시설, 대형 로비, 판매시설, 지하주차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층별 구성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층별 구성
층수 | 시설 |
---|---|
103층 ~ 111층 | 전망대 |
98층 ~ 102층 | 오피스 |
96층 ~ 97층 | 클럽하우스 |
80층 ~ 95층 | 오피스 |
74층 ~ 79층 | 스카이 로비3 |
59층 ~ 73층 | 오피스 |
53층 ~ 58층 | 스카이 로비2 |
38층 ~ 52층 | 오피스 |
33층 ~ 37층 | 스카이 로비1 |
21층 ~ 32층 | 오피스 |
18층 ~ 20층 | 갤러리/레스토랑 |
8층 ~ 17층 | 오피스 |
5층 ~ 7층 | 편의시설 |
1층 ~ 4층 | 대형 로비 |
지하 3층 ~ 지하 1층 | 판매시설 |
지하 9층 ~ 지하 4층 | 지하주차장 |
참조
[1]
웹사이트
Dream Hub Archipelago Main Tower - the Skyscraper Center
https://www.skyscrap[...]
[2]
뉴스
New Yongsan designs hark back to history
http://joongangdaily[...]
JoonAng Daily
2009-06-03
[3]
웹사이트
Putting the soul back into Seoul
http://www.worldarch[...]
WorldArchitectureNews.com
2008-08-20
[4]
웹사이트
시공권 갈등 휩싸인 용산개발 '트리플원'의 운명은?
http://www.asiae.co.[...]
[5]
웹사이트
龍山ランドマークビル 111階に
http://www.hani.co.k[...]
[6]
웹사이트
龍山国際業務地区の開発事業、最終的にデフォルト
http://biz.chosun.co[...]
[7]
웹사이트
Triple One by Renzo Piano Building Workshop
https://www.dezeen.c[...]
[8]
웹사이트
借金爆弾残して…消えた‘龍山(ヨンサン)蜃気楼'
http://japan.hani.co[...]
2013-03-14
[9]
웹사이트
Yongsan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https://www.dezeen.c[...]
[10]
웹사이트
yongsan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http://www.designboo[...]
[11]
뉴스
620m 111층 용산 초고층빌딩 위용 드러내다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2012-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